남해안, 새로운 국토 성장축으로 만든다
정부, 발전 정책 계획 확정
96개 사업에 20.5조 투입
전남·경남·부산 공동 추진
테마섬·신소재산업 등 육성
96개 사업에 20.5조 투입
전남·경남·부산 공동 추진
테마섬·신소재산업 등 육성
![]()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 공간구상도. <전남도 제공> |
전남·경남·부산 등 남해안권에 대한 향후 10년의 발전 방향을 담은 정부의 계획이 나왔다.
2030년까지 광역 관광벨트 조성, 미래산업 육성, 산업·관광 거점을 연계한 인프라 구축, 동서 상생 협력 사업 등을 추진해 남해안을 새로운 국토 성장축으로 삼겠다는 내용이다.
지난 30일 국토교통부와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국토정책위원회는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에 의거해 상정된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을 심의·의결했다. 지난 2010년 5월 수립한 계획을 일부 수정해 오는 2030년까지의 남해안권 발전정책 계획을 확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남도, 경상도, 부산시 등은 남해안 테마섬 개발 관광벨트, 동서 상생 협력 벨트 조성 등 모두 96개 사업에 20조5000억원을 투입하게 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차세대 신소재 산업 연관단지 구축 및 미래산업 육성, 산업 및 관광거점 연결을 위한 사회간접자본 확충, 동서 해저터널 및 남도 2대교 등 영호남 상생 사업 등이 포함됐다.
전남으로 지역을 한정하면 기존 추진중인 사업을 포함해 모두 49개 사업이 계획에 반영됐으며, 이들 사업의 예산 규모는 10조7000억원 수준이다.
SOC 사업으로 익산~여수 전라선 고속철, 목포~새만금 서해안철도, 진도~영암 고속도로, 흑산공항 조기 건설 사업 등이 포함됐다.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부품 클러스터 조성, 차세대 신소재 산업 연관단지 구축 등 첨단소재 산업 육성, 서남해안 명품 경관 육성, 호남선 남행열차 운행 등 지역 연계 관광사업 등도 추진된다.
정부의 이 같은 남해안권 발전 종합계획은 청사진을 제시하는 법정 계획으로,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예산 확보 등 관련 절차를 거쳐야 한다.
전동호 전남도 건설교통국장은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남해안권을 발전시킬 전략이 새롭게 마련됐다”며 “향후 국비를 확보해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국토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남해안권 발전 종합계획이 변경 시행될 경우 45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5조원의 부가가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28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돼 ‘남해안 시대 개막’을 앞당기고 민선 7기가 새천년 비전으로 제시한 ‘전남 블루 이코노미’ 프로젝트 추진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는 전라도 정도(定道) 천년(1018~2018년) 이후의 새천년 전남 발전 청사진이다. 바다·섬·하늘·바람 등 전남이 가진 청색(블루) 자원과 산재한 문화자원, 비교 우위의 산업자원을 활용한 지역 경제 혁신 성장 전략이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2030년까지 광역 관광벨트 조성, 미래산업 육성, 산업·관광 거점을 연계한 인프라 구축, 동서 상생 협력 사업 등을 추진해 남해안을 새로운 국토 성장축으로 삼겠다는 내용이다.
지난 30일 국토교통부와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국토정책위원회는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에 의거해 상정된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을 심의·의결했다. 지난 2010년 5월 수립한 계획을 일부 수정해 오는 2030년까지의 남해안권 발전정책 계획을 확정한 것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차세대 신소재 산업 연관단지 구축 및 미래산업 육성, 산업 및 관광거점 연결을 위한 사회간접자본 확충, 동서 해저터널 및 남도 2대교 등 영호남 상생 사업 등이 포함됐다.
SOC 사업으로 익산~여수 전라선 고속철, 목포~새만금 서해안철도, 진도~영암 고속도로, 흑산공항 조기 건설 사업 등이 포함됐다.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부품 클러스터 조성, 차세대 신소재 산업 연관단지 구축 등 첨단소재 산업 육성, 서남해안 명품 경관 육성, 호남선 남행열차 운행 등 지역 연계 관광사업 등도 추진된다.
정부의 이 같은 남해안권 발전 종합계획은 청사진을 제시하는 법정 계획으로,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예산 확보 등 관련 절차를 거쳐야 한다.
전동호 전남도 건설교통국장은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남해안권을 발전시킬 전략이 새롭게 마련됐다”며 “향후 국비를 확보해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국토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남해안권 발전 종합계획이 변경 시행될 경우 45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5조원의 부가가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28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돼 ‘남해안 시대 개막’을 앞당기고 민선 7기가 새천년 비전으로 제시한 ‘전남 블루 이코노미’ 프로젝트 추진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는 전라도 정도(定道) 천년(1018~2018년) 이후의 새천년 전남 발전 청사진이다. 바다·섬·하늘·바람 등 전남이 가진 청색(블루) 자원과 산재한 문화자원, 비교 우위의 산업자원을 활용한 지역 경제 혁신 성장 전략이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