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학교안전공제회는 감사 사각지대
설립후 10년간 한번도 없어
교육청 출신 특채 의혹도
교육청 출신 특채 의혹도
학교 내 교육활동 중 학생들의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보상에 전념해야 할 광주학교안전공제회가 감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교육시민단체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학교안전공제회는 특수법인으로 설립 이후 10여 년 동안 단 한 번의 광주시교육청 감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안전공제회는 최근 일반직 직원(부장)을 채용하면서 ‘광주광역시교육청 소속 지방교육행정 6급 이상으로서 6급 이상 경력이 10년 이상인 자’를 자격기준으로 제시하는 등 교육청 관료 출신을 특별채용(우대)했다는 의혹도 불거져 특별감사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공제회의 채용 자격기준대로라면 시 교육청 출신이 아니면 응모 자체가 불가능하다.
이와 관련 학벌없는사회는 최근 자료를 내고 “학교안전공제회가 교육청 관료 출신을 특별채용하고 있고, 시 교육청 안전총괄과장이 사무국장을 겸임하는 등 시 교육청이 공제회를 장악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직원 채용 등에서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쇄신책 마련을 통해 공제회 운영의 투명성, 공정성을 담보하고 학교 안전사고 예방과 보상의 전문성을 높일 것”을 학교안전공제회에 요구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
교육시민단체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학교안전공제회는 특수법인으로 설립 이후 10여 년 동안 단 한 번의 광주시교육청 감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학벌없는사회는 최근 자료를 내고 “학교안전공제회가 교육청 관료 출신을 특별채용하고 있고, 시 교육청 안전총괄과장이 사무국장을 겸임하는 등 시 교육청이 공제회를 장악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직원 채용 등에서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