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노동계 복귀
노사정 합의…사업 정상궤도
광주 상생 일자리 재단 설립·GGM 내 상생위원회 설치키로
2020년 04월 30일(목) 00:00
이용섭 광주시장(사진 가운데)과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의장(사진 오른쪽), 박광태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대표이사가 29일 광주시청 비즈니스룸에서 광주형일자리 완성차공장 성공을 위한 합의서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이날 합의서 체결로 한국노총은 광주형일자리사업에 전격 복귀하게 된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광주 청년의 미래 일자리를 책임질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르게 됐다. 지난 2일 신뢰 붕괴 등을 이유로 사업불참을 선언하고 이탈했던 노동계가 27일 만에 복귀를 결정했기 때문이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의장, 박광태 합작법인 광주 글로벌모터스(GGM) 대표이사는 29일 오후 4시 30분 광주시청 비즈니스룸에서 ‘광주형 노사 상생의 완성차 공장 성공을 위한 합의서’를 발표했다. 노사정은 이날 합의서에서 광주 상생 일자리 재단 설립, GGM 내 상생위원회 설치에 합의했다. 주체별 이행 사항을 담은 3개항 합의를 통해 광주시는 노동정책 전반의 실효성, 정책 수행 역량, 노동 관련 시설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가칭 광주 상생 일자리 재단을 설립하기로 했다.

일자리 재단 설립을 위한 추진단을 우선 꾸리게 되며, 추진단은 재단의 기능과 역할을 설정하고 공식 출범 때까지 재단 취지에 맞는 기능을 수행한다.

GGM은 노사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독립 자문기구 ‘상생위원회’를 설치한다.

위원장을 포함해 5명으로 구성되는 상생위원회는 GGM 상생 노사발전 협의회가 출범하기 전까지 노사 관련 문제를 논의해 대표이사에게 제안한다. 위원회엔 노동계를 대표한 인사도 포함된다.

이에 따라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도 2019년 1월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체결한 투자협약서와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에서 의결해 투자협약서에 첨부된 노사 상생발전협정서를 이행하기로 했다.

노동계는 특히 노동 이사제 도입, 원하청 관계 개선, GGM 임원들 적정 임금 설정, 시민자문위 구성, 현대차 추천 이사 해촉 등 5대 요구 사항은 철회하기로 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비 온 뒤에 땅이 더욱 굳어지는 것처럼 광주시, 노동계, GGM, 현대차는 한마음 한뜻으로 광주형 완성차 공장을 성공시키겠다”고 밝혔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58817240069476600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2일 06:5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