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바람·섬·땅 어우러진 숲 조성
전남 ‘블루 이코노미’ 선도…10년간 1500억 투자 12개 숲 테마
전남도는 앞으로 10년간 1500억원을 투입해 전남을 대표할 수 있는 대규모 숲 조성에 나선다.
민선 7기 핵심 프로젝트인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 선도 사업으로, 남도의 하늘, 바람, 섬, 땅이 어우러진 숲을 만들어 보존하겠다는 것이다.
27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신규사업으로 경관 숲 7곳과 소득 숲 5곳 등 12곳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올해 사업비 110억원을 확보했다.
‘경관숲’은 남도의 역사·문화·인문이 어우러진 해양숲과 관광숲, 지역특화숲 테마로 조성된다.
신안에 한반도 평화의 숲(면적 60ha, 사업비 300억원), 해남 두륜산에 사랑누리숲(200ha, 40억원), 영암에 기찬묏길 향기숲(100ha, 20억원), 담양에 대나무 숲(200ha, 40억원), 보성에 일림산 산철쭉평원(100ha, 20억원), 구례 산수유 숲(5ha, 5억원), 목포 등 서남해안 섬숲(1000ha, 850억원) 등이다.
‘소득숲’은 지역의 기후·산업화를 고려한 전략수종을 소득과 연계해 견과류단지, 밀원단지, 약용단지로 특화해 각각 조성할 계획이다.
가공·유통·관광 등을 통해 주민 소득을 향상하기 위해 영광 견과류 웰빙숲(500ha,100억원), 화순 청풍 벌꿀숲(30ha, 10억원), 광양 봉강면 일원 복분자단지(10ha, 25억원) 등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담배인삼공사에 전량 공급할 계획이다.
또 광양 옥룡사지 일원의 동백숲을 복원해 산업화를 위해 백계산 동백숲 (300ha, 60억원), 장흥 정남진 밀원숲(150ha, 30억원) 등 모두 5곳이 조성된다.
이와 함께 전남도 주민·단체와 함께 생활주변 크고 작은 아름다운 숲을 지속적으로 조성하기로 하고 올해 구례 산수유 숲, 보성 녹차골 쉼터숲 등 22개소에 40억원이 투입된다.
전남도는 올해 신규 국고사업으로 확정된 ‘서남해안 섬숲 복원사업’도 오는 2029년까지 16개 시·군 3700ha에 3700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추진할 예정이다. 그 시범사업으로 올해 43억원을 투입해 신안군에 1000ha 규모의 난대숲을 복원할 계획이다.
박현식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대규모 경관ㆍ소득숲을 전남도 미래 대표숲으로 조성하겠다”며 “숲의 가치를 높여 주민 소득과 연계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해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민선 7기 핵심 프로젝트인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 선도 사업으로, 남도의 하늘, 바람, 섬, 땅이 어우러진 숲을 만들어 보존하겠다는 것이다.
27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신규사업으로 경관 숲 7곳과 소득 숲 5곳 등 12곳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올해 사업비 110억원을 확보했다.
신안에 한반도 평화의 숲(면적 60ha, 사업비 300억원), 해남 두륜산에 사랑누리숲(200ha, 40억원), 영암에 기찬묏길 향기숲(100ha, 20억원), 담양에 대나무 숲(200ha, 40억원), 보성에 일림산 산철쭉평원(100ha, 20억원), 구례 산수유 숲(5ha, 5억원), 목포 등 서남해안 섬숲(1000ha, 850억원) 등이다.
‘소득숲’은 지역의 기후·산업화를 고려한 전략수종을 소득과 연계해 견과류단지, 밀원단지, 약용단지로 특화해 각각 조성할 계획이다.
또 광양 옥룡사지 일원의 동백숲을 복원해 산업화를 위해 백계산 동백숲 (300ha, 60억원), 장흥 정남진 밀원숲(150ha, 30억원) 등 모두 5곳이 조성된다.
이와 함께 전남도 주민·단체와 함께 생활주변 크고 작은 아름다운 숲을 지속적으로 조성하기로 하고 올해 구례 산수유 숲, 보성 녹차골 쉼터숲 등 22개소에 40억원이 투입된다.
전남도는 올해 신규 국고사업으로 확정된 ‘서남해안 섬숲 복원사업’도 오는 2029년까지 16개 시·군 3700ha에 3700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추진할 예정이다. 그 시범사업으로 올해 43억원을 투입해 신안군에 1000ha 규모의 난대숲을 복원할 계획이다.
박현식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대규모 경관ㆍ소득숲을 전남도 미래 대표숲으로 조성하겠다”며 “숲의 가치를 높여 주민 소득과 연계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해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