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군 초미세먼지 전남에서 가장 적다
평균 17.0㎍/㎥ 그쳐…해양치유산업 최적지 확인
신지명사십리 해변 산소음이온 발생량 전국 최고 수준
신지명사십리 해변 산소음이온 발생량 전국 최고 수준
![]() ‘공기 비타민’으로 불리는 산소음이온의 발생량이 전국 최고 수준인 완도 신지명사십리 해변. <완도군 제공> |
남해안 힐링 명소로 부상한 완도군의 초미세먼지 발생량이 전남 지역 최저로 나타나 해양치유산업의 최적지임이 증명됐다.
완도군에 따르면 대기질 검색 웹인 ‘에어코리아’가 지난 2~9월 전남 지역 14개 시·군을 대상으로 초미세먼지 발생량을 측정한 결과 완도군이 평균 17.0㎍/㎥로 가장 낮게 조사됐다.
초미세먼지가 가장 심했던 시기는 지난 3월로, 전남 지역에서 가장 심한 곳은 45㎍/㎥에 달했으나 완도는 24㎍/㎥에 그쳤다.
2월과 4월에도 각각 23㎍/㎥, 14㎍/㎥로 전남도에서 가장 낮게 발생했다.
해양치유산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완도군은 청정한 공기를 해양기후치유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꼽고 있다.
특히 완도 신지명사십리 해수욕장의 해변 노르딕워킹과 해변 필라테스, 해변 요가는 대표적인 해양기후치유 프로그램으로 공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지명사십리 해변은 ‘공기 비타민’이라고 불리는 산소음이온 발생량이 전국 최고 수준이다. 대도시의 산소 음이온 발생량 0~50개/㎤에 비해 완도 신지명사십리해수욕장은 1493개/㎤로 30여배 높게 나타났다.
완도군 관계자는 “육지 식물에 비해 탄소 흡수율이 5배나 많은 해조류 양식장이 완도해역에 많아 공기질을 더욱 깨끗하게 유지하고 있다”며 “완도가 해양치유산업의 최적지인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완도=정은조 기자·전남주재총괄본부장
완도군에 따르면 대기질 검색 웹인 ‘에어코리아’가 지난 2~9월 전남 지역 14개 시·군을 대상으로 초미세먼지 발생량을 측정한 결과 완도군이 평균 17.0㎍/㎥로 가장 낮게 조사됐다.
2월과 4월에도 각각 23㎍/㎥, 14㎍/㎥로 전남도에서 가장 낮게 발생했다.
해양치유산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완도군은 청정한 공기를 해양기후치유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꼽고 있다.
특히 완도 신지명사십리 해수욕장의 해변 노르딕워킹과 해변 필라테스, 해변 요가는 대표적인 해양기후치유 프로그램으로 공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지명사십리 해변은 ‘공기 비타민’이라고 불리는 산소음이온 발생량이 전국 최고 수준이다. 대도시의 산소 음이온 발생량 0~50개/㎤에 비해 완도 신지명사십리해수욕장은 1493개/㎤로 30여배 높게 나타났다.
/완도=정은조 기자·전남주재총괄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