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20개 현안사업 전담조직 신설
맛의 도시 브랜드화·섬 경관숲 조성 등 추진 TF팀 운영키로
지역발전 사업 소극적 대처 탈피…선제적 대응 위해 역량 집중
지역발전 사업 소극적 대처 탈피…선제적 대응 위해 역량 집중
목포시가 각종 현안사업의 선제적 대응과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각 국별로 ‘현안사업 추진 T/F팀’을 구성·운영키로 해 주목된다.
최근 김종식 목포시장은 서남권 관광 선도도시 건설, 맛의 도시 특구 조성 등 신규 공모사업을 비롯해 서남해안 섬지역 경관 숲 조성사업 등 당면 현안사업 추진에 따른 전담 조직을 신설할 것을 주문했다.
이는 신규 현안사업 수요 발생 시 해당 부서에서 기존 업무 추진과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지역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신청 지연 등 소극적으로 대처해 속도감 있는 업무 추진이 미흡하다는 일부 여론에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현재 목포시의 주요 현안사업은 8월8일 제1회 섬의 날 행사, 낭만항구 가을여행 프로그램(이상 기획문화국 소관), 목포사랑운동, 2022 전국체전 준비(이상 자치행정복지국), 해상케이블카, 맛의 도시 브랜드화, 서남권 관광거점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수산식품 수출단지 조성(이상 관광경제국), 도시재생뉴딜사업, 근대역사 문화공간 조성(이상 도시발전 사업단) 등 총 20개 사업이다.
이들 20개 현안사업을 추진하는 데 출산휴가·육아 휴직·병가 등으로 결원이 많이 발생해 각 부서에서 인력 충원해달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여기에 현안업무 추진 부서에서도 전담 추진 인력 요청이 쇄도하고 있으나 기동근무를 위한 인력 차출이 매우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5월 현재 정원 대비 66명이 결원이기 때문이라는 게 목포시 인사부서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목포시 자치행정과는 각 국(단)장 책임 하에 국(단) 소속 직원들로 ‘현안사업 추진 T/F팀’을 구성·운영키로 했다.
이 운영 안에 따르면 팀장은 담당과장이 맡고, 팀원은 담당 계장 등 3~4명으로 구성된다. 각 팀은 국별로 자율 운영하되 주 1회 이상 추진상황을 보고토록 했다.
이와 관련 김종식 목포시장은 “현안사업 추진 T/F팀 구성 운영을 통해 공모사업 등 당면 현안사업의 선제적 대응과 효율적인 추진으로 도시브랜드 가치를 강화하고 민선 7기 역점 분야에 조직의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한편 목포시 자치행정과는 부서별 월별 업무량과 초과 근무 현황조사 등 조직 분석을 통해 차기 인사 시 부서 간 정원 조정을 실시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목포=고규석 기자 yousou@kwangju.co.kr
최근 김종식 목포시장은 서남권 관광 선도도시 건설, 맛의 도시 특구 조성 등 신규 공모사업을 비롯해 서남해안 섬지역 경관 숲 조성사업 등 당면 현안사업 추진에 따른 전담 조직을 신설할 것을 주문했다.
현재 목포시의 주요 현안사업은 8월8일 제1회 섬의 날 행사, 낭만항구 가을여행 프로그램(이상 기획문화국 소관), 목포사랑운동, 2022 전국체전 준비(이상 자치행정복지국), 해상케이블카, 맛의 도시 브랜드화, 서남권 관광거점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수산식품 수출단지 조성(이상 관광경제국), 도시재생뉴딜사업, 근대역사 문화공간 조성(이상 도시발전 사업단) 등 총 20개 사업이다.
여기에 현안업무 추진 부서에서도 전담 추진 인력 요청이 쇄도하고 있으나 기동근무를 위한 인력 차출이 매우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5월 현재 정원 대비 66명이 결원이기 때문이라는 게 목포시 인사부서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목포시 자치행정과는 각 국(단)장 책임 하에 국(단) 소속 직원들로 ‘현안사업 추진 T/F팀’을 구성·운영키로 했다.
이 운영 안에 따르면 팀장은 담당과장이 맡고, 팀원은 담당 계장 등 3~4명으로 구성된다. 각 팀은 국별로 자율 운영하되 주 1회 이상 추진상황을 보고토록 했다.
이와 관련 김종식 목포시장은 “현안사업 추진 T/F팀 구성 운영을 통해 공모사업 등 당면 현안사업의 선제적 대응과 효율적인 추진으로 도시브랜드 가치를 강화하고 민선 7기 역점 분야에 조직의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한편 목포시 자치행정과는 부서별 월별 업무량과 초과 근무 현황조사 등 조직 분석을 통해 차기 인사 시 부서 간 정원 조정을 실시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목포=고규석 기자 yous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