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높이 맞는 지역 일자리 없다” 고향 떠나는 청년들
백척간두에 선 호남경제 ② 청년 일자리가 없다
광주 지난해 이향 8천명 중 5천명 15~29세…전남 年 4천명
구직 청년들 낮은 임금에 신음…광주시, 광주형일자리 사활
농림어업 일자리 많은 전남 ‘일자리 불일치’ 해소 대책 박차
광주 지난해 이향 8천명 중 5천명 15~29세…전남 年 4천명
구직 청년들 낮은 임금에 신음…광주시, 광주형일자리 사활
농림어업 일자리 많은 전남 ‘일자리 불일치’ 해소 대책 박차
지난해 광주 시민 8000여명이 타·시도로 떠나갔는데 이 중 절반 이상인 5000여명이 15~29세의 청년이었다. 전남지역의 사정도 비슷하다. 전남지역 청년들은 지난 7년 동안 해마다 4000여명가량 고향을 등지고 있다.
이처럼 광주·전남지역 청년이 고향을 떠나고 있는 것은 일자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 광주형일자리 청년 취업 해법 될까=27일 광주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올 2분기 광주지역 청년 취업자는 1만2000여명으로 청년 고용률은 40.8%에 그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42.5%)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문제는 저출산 현상과 함께 청년 일자리가 없다 보니 청년의 수가 꾸준히 줄고 있다는 점이다. 청년 인구는 2004년 이후 가장 큰 폭인 7043명이 줄었고, 광주지역 합계 출산율(1.168)도 전국 평균(1.172)에 못 미치고 있다. 일자리와 학업 등을 위해 광주를 떠나는 청년들도 지난 2014년 4186명, 2015년 5649명, 2016년 4253명, 2017년 5096명에 달했다.
일자리를 구한 청년들도 낮은 임금에 신음하고 있다. 최근 광주시의 청년비상금통장을 신청한 광주지역 사회초년생의 평균임금은 134만원이었으며, 10명 중 4명가량은 자산이 한 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도 일자리 늘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광주시는 최근 컨트롤타워 격인 광주시 일자리위원회를 출범시키고 노사 상생형 모델인 광주형일자리를 통한 현대자동차 완성차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노조의 반발을 사고 있다. 공공분야 일자리의 한계가 뚜렷한 만큼, 민간 분야 일자리를 늘려야 하지만 경기 침체로 광주형일자리가 얼마나 성공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 전남,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 늘린다=전남지역 일자리는 농림어업 중심인 탓에 청년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전남지역 농림어업 종사자는 22.2%(전국 5.1%)에 달하는 등 농림어업 중심의 일자리가 많고, 상대적으로 제조업 종사자는 10.4%(전국 16.7%)에 그쳐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찾기가 더욱 어렵다.
이 때문에 전남지역 청년들도 해마다 고향을 떠나고 있다. 지난해 6404명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다. 청년들의 희망 직종과 실제 일자리 간에 불일치 탓에 청년 취업난을 겪고 있으며, 직원을 찾지 못한 기업의 구인난도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남지역의 빈일자리는 지난 2016년 4400개, 2017년 3700개에 달했다. 일자리가 없어 청년이 취업을 하지 못하는 게 아니라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가 없다는 뜻이다.
이에 전남도는 이 같은 ‘미스매치’를 줄이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 산업현장의 구인 수요를 반영해 해양플랜트, 기계정비, 드론, 에너지·ICT 등의 인력을 양성하고 있고 권역별 잡 매칭데이를 운영하고 있다.
광주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청년의 수가 줄면서 중소기업에서는 일손을 구하지 못하는 악순환도 되풀이되고 있다”면서 “청년이 원하는 고용·노동 환경을 마련하고 장기 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박정욱 기자 jwpark@kwangju.co.kr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이처럼 광주·전남지역 청년이 고향을 떠나고 있는 것은 일자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문제는 저출산 현상과 함께 청년 일자리가 없다 보니 청년의 수가 꾸준히 줄고 있다는 점이다. 청년 인구는 2004년 이후 가장 큰 폭인 7043명이 줄었고, 광주지역 합계 출산율(1.168)도 전국 평균(1.172)에 못 미치고 있다. 일자리와 학업 등을 위해 광주를 떠나는 청년들도 지난 2014년 4186명, 2015년 5649명, 2016년 4253명, 2017년 5096명에 달했다.
광주시도 일자리 늘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광주시는 최근 컨트롤타워 격인 광주시 일자리위원회를 출범시키고 노사 상생형 모델인 광주형일자리를 통한 현대자동차 완성차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노조의 반발을 사고 있다. 공공분야 일자리의 한계가 뚜렷한 만큼, 민간 분야 일자리를 늘려야 하지만 경기 침체로 광주형일자리가 얼마나 성공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 전남,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 늘린다=전남지역 일자리는 농림어업 중심인 탓에 청년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전남지역 농림어업 종사자는 22.2%(전국 5.1%)에 달하는 등 농림어업 중심의 일자리가 많고, 상대적으로 제조업 종사자는 10.4%(전국 16.7%)에 그쳐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찾기가 더욱 어렵다.
이 때문에 전남지역 청년들도 해마다 고향을 떠나고 있다. 지난해 6404명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다. 청년들의 희망 직종과 실제 일자리 간에 불일치 탓에 청년 취업난을 겪고 있으며, 직원을 찾지 못한 기업의 구인난도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남지역의 빈일자리는 지난 2016년 4400개, 2017년 3700개에 달했다. 일자리가 없어 청년이 취업을 하지 못하는 게 아니라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가 없다는 뜻이다.
이에 전남도는 이 같은 ‘미스매치’를 줄이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 산업현장의 구인 수요를 반영해 해양플랜트, 기계정비, 드론, 에너지·ICT 등의 인력을 양성하고 있고 권역별 잡 매칭데이를 운영하고 있다.
광주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청년의 수가 줄면서 중소기업에서는 일손을 구하지 못하는 악순환도 되풀이되고 있다”면서 “청년이 원하는 고용·노동 환경을 마련하고 장기 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박정욱 기자 jwpark@kwangju.co.kr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