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청년창업자금 정책은
매년 50∼70팀에 최대 2000만원 무상지원
청년창업특례보증제·100억 창업펀드 조성
2017년 11월 20일(월) 00:00
광주시에서도 정부차원이 아닌 자치단체 차원에서 청년들의 창업을 돕기 위한 창업자금 정책을 펼치고 있다.

창업에 있어 가장 큰 ‘난관’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금확보를 위해 지난 2010년부터 우수한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청년창업가들을 대상으로 공모와 심사를 통해 매년 50∼70여팀에게 최대 2000만원 상당의 창업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대출형태가 아닌 전액 무상지원이라는 점에서 돋보이는 제도다.

현재 이 자금지원사업을 통해 지난해까지 총 청년기업 400여개가 창업할 수 있었다. 올해는 올해는 50개팀이 선정돼 24개팀이 창업을 했으며, 나머지 26개팀이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

또 담보력이 취약해 금융권 대출이 쉽지 않은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광주청년창업특례보증제를 광역시 최초로 도입한 상태다.

지난해 200억원 규모로 시행해 총 900여명의 청년창업가가 저리의 사업자금을 융자받을 수 있었다. 올해는 50억원을 추가 확대해 250억원 규모로 추진하고 있고, 지난 9월까지 900여명의 청년창업가가 특례보증 자금을 지원받았다. 특히, 올해는 신규 자금지원사업으로 시설·기술투자 등 대규모 투자가 가능한 100억원 규모의 광주청년창업펀드를 조성했다. 국비 60억원·시비 20억원이 출자되는 청년창업펀드는 광주지역 유망 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 투자하는 펀드다. 실업 문제가 심각한 여건 속에서 창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상 청년들은 창업시 자금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무분별한 대출은 사업실패시 빚더미에 앉을 수 있다는 우려 또한 크다.

지역에서 청년창업가를 육성하고 이들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업 초창기부터 사업안정기까지 아낌없는 투자와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현재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의 자금지원에는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독일의 ‘소셜 임팩트 랩’처럼 기업과 민간차원에서도 청년들의 창업지원에 나설 수 있는 분위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박기웅기자 pboxer@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511103600617717261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9일 23: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