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개발이냐” “환경 훼손이냐”
국립공원 관리공단, 무등산 오토캠핑장 설치 계획 논란
2014년 08월 05일(화) 00:00
국립공원관리공단이 무등산에 자동차 야영장(오토캠핑장)을 설치하는 기본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연환경훼손이냐 아니면 친환경 개발이냐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4일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 2012년 12월 31일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타당성조사 연구용역을 실시한 뒤 무등산에 자동차 야영장(6000㎡·1815평) 2곳 등 휴양 및 편익시설을 설치하는 안을 관보에 게시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자동차 야영장을 설치하려는 부지는 광주시 동구 운림동(806번지 일대)으로, 동적골 튤립 꽃동산 부근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무등산이 지난해 3월 국립공원으로 승격됨에 따라 탐방로 자연조사 결과와 탐방객 필수시설 등을 감안, 자동차 야영장 설치 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무분별한 야영객 수 증가를 막고 건전한 야영 문화와 자연훼손을 사전에 방지할 목적으로 저지대에 자동차 야영장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타 지역 국립공원들도 자동차 야영장을 조성·운영하는 추세라는 게 국립공원관리공단 측의 설명이다.

전국 21개 국립공원 중 지리산 국립공원·설악산 국립공원·치악산 국립공원 등 14개 국립공원은 자동차 야영장을 조성한 뒤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탐방객들 사이에선 광주시가 자연환경 훼손을 막는다며 증심사지구 음식점들을 이주시킨 마당에 “자동차 야영장이 웬 말이냐”라며 자연환경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증심사지구 환경복원사업(예산 742억원) 일환으로 건물주나 영업주 등을 이주단지(68필지)와 상가단지(40필지)를 조성한 뒤 집단 이주시켰었다.

특히 무등산이 국립공원 승격 이후 탐방로 훼손(33곳 19.08㎞)이 심해지고 꼬막재와 늦재 약수터가 한때 폐쇄되는 등 도립공원 시절보다 관리가 부실해졌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자동차 야영장을 만들어놓고 관리를 부실하게 할 경우 자연환경 훼손만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많다.

무등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관계자는 (비공식적 의견임을 전제로)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지 1년 밖에 되지 않은데다, 자연자원조사도 최근 끝마친 상태”라며 “휴양 및 편의시설(자동차 야영장)에 대해선 아직까지 구체적인 추진 계획은 없지만 탐방객 편의시설이 부족한 만큼 필요한 시설부터 순차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2012년 12월 26일 도립공원이던 무등산의 국립공원 지정안을 심의·확정했으며 무등산은 지난해 3월 4일 관보 고시와 함께 공식 국립공원이 됐다.

/이종행기자 golee@kwangju.co.kr

/박기웅 수습기자 pboxer@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407164400530083023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2일 03: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