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0년엔 목포신항·영광백수해안도로 물에 잠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 국내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전남 도로 16.5% 침수… 호남·경전선 철도 70㎞도
전남 도로 16.5% 침수… 호남·경전선 철도 70㎞도
![]() 최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가 발표한 제5차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온난화가 현재 속도로 진행될 경우 21세기 말 지구의 평균기온은 3.7도, 해수면은 63㎝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온난화로 지난 34년(1979∼2012)간 북극 해빙은 10년 간 3.5∼4.1% 가량 줄었다.
〈광주일보 자료사진〉 |
지구 온난화로 인해 2100년이면 목포 신항과 영광 백수 해안도로가 바다에 잠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빛(영광) 원전, 여수국가산업단지 등 서·남해안 경제 시설도 예외가 아니다.
◇온난화 계속되면…=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가 최근 발표한 ‘제 5차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지난 133년간 0.85도 상승했고 해수면은 110년간(1901∼2010년) 19㎝정도 높아졌다. IPCC는 이같은 추세대로라면 21세기 말에는 지구의 평균기온이 1986∼2005년에 비해 3.7도 오르고 해수면은 63㎝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2500여명의 세계 과학자들은 최악의 경우 지구 해수면이 최대 98㎝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1901년부터 100년간 연간 1.7mm였던 해수면 상승률은 지구 온난화와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최근 10년간 연간 3.2mm씩 가파르게 상승했다.
남의 얘기로 넘길 사항이 아니다.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지난 1969년부터 최근까지 국내 해수면 높이는 연평균 2.48㎜씩 상승했다.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은 3.17㎜ 상승했다. 동해안(2.12㎜)과 서해안(1.36㎜) 상승폭도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폭(1.8㎜)을 훌쩍 넘는다. 제주항의 해수면 상승(연평균 5.97㎜)의 경우 세계 평균의 3배가 넘는다. 기후 변화에 따른 대응 방향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될 시기라는 얘기다.
◇전남 경제 시설 직격탄=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도 비슷한 연구 보고서를 내놓은 바 있다.
평가연구원 보고서는 IPCC 4차 보고서 등을 토대로 2100년 최대 해수면의 상승치를 1.36m로 설정한 뒤 태풍해일 피해를 추가해 국내 해안 지역 도로, 철도 등 인프라 시설과 산업에 미칠 영향을 산출한 것이다.
평가원의 ‘국내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로 보면 2100년에는 국토의 3.9%(3734㎢)가 물에 잠기고 전체 도로의 6.2%에 해당하는 5629㎞ 구간이 침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됐다.
전남 지역의 경우 총 1만113㎞의 도로 중 16.5%에 달하는 1668㎞가 물에 잠기고 호남선과 경전선 철도 70여㎞가 침수돼 쓸 수 없을 것이라는 충격적인 내용도 담겨 있다.
예상되는 산업 시설 피해도 엄청나다.
여수·광양·대불산업단지 등 국가산업단지 4곳과 일반산업단지 10곳 등 전남 산업단지의 143㎢가 물에 잠기는 것으로 예측됐다. 면적만 여의도의 14배에 달한다. 목포 신항, 광양항 등 전남 항구도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기고 한빛원전을 비롯, 해안에 위치한 시설은 피해 영향권에 포함됐다.
KEI 측은 2100년 전남지역에는 18만8000여명에 달하는 이재민이 발생, 삶의 터전을 떠나야 하고 이들에 드는 사회적 비용도 연간 1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KEI 관계자는 “더 늦기 전에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해야 하며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감안한 연구와 대비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정렬기자 halo@kwangju.co.kr
한빛(영광) 원전, 여수국가산업단지 등 서·남해안 경제 시설도 예외가 아니다.
◇온난화 계속되면…=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가 최근 발표한 ‘제 5차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지난 133년간 0.85도 상승했고 해수면은 110년간(1901∼2010년) 19㎝정도 높아졌다. IPCC는 이같은 추세대로라면 21세기 말에는 지구의 평균기온이 1986∼2005년에 비해 3.7도 오르고 해수면은 63㎝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남의 얘기로 넘길 사항이 아니다.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지난 1969년부터 최근까지 국내 해수면 높이는 연평균 2.48㎜씩 상승했다.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은 3.17㎜ 상승했다. 동해안(2.12㎜)과 서해안(1.36㎜) 상승폭도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폭(1.8㎜)을 훌쩍 넘는다. 제주항의 해수면 상승(연평균 5.97㎜)의 경우 세계 평균의 3배가 넘는다. 기후 변화에 따른 대응 방향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될 시기라는 얘기다.
평가연구원 보고서는 IPCC 4차 보고서 등을 토대로 2100년 최대 해수면의 상승치를 1.36m로 설정한 뒤 태풍해일 피해를 추가해 국내 해안 지역 도로, 철도 등 인프라 시설과 산업에 미칠 영향을 산출한 것이다.
평가원의 ‘국내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로 보면 2100년에는 국토의 3.9%(3734㎢)가 물에 잠기고 전체 도로의 6.2%에 해당하는 5629㎞ 구간이 침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됐다.
전남 지역의 경우 총 1만113㎞의 도로 중 16.5%에 달하는 1668㎞가 물에 잠기고 호남선과 경전선 철도 70여㎞가 침수돼 쓸 수 없을 것이라는 충격적인 내용도 담겨 있다.
예상되는 산업 시설 피해도 엄청나다.
여수·광양·대불산업단지 등 국가산업단지 4곳과 일반산업단지 10곳 등 전남 산업단지의 143㎢가 물에 잠기는 것으로 예측됐다. 면적만 여의도의 14배에 달한다. 목포 신항, 광양항 등 전남 항구도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기고 한빛원전을 비롯, 해안에 위치한 시설은 피해 영향권에 포함됐다.
KEI 측은 2100년 전남지역에는 18만8000여명에 달하는 이재민이 발생, 삶의 터전을 떠나야 하고 이들에 드는 사회적 비용도 연간 1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KEI 관계자는 “더 늦기 전에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해야 하며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감안한 연구와 대비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정렬기자 halo@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