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 종량제’ 효과 만점… 아파트까지 확대한다
주택·소형음식점, 도입 5개월만에 배출량 30% 감소
올 수거·처리비용 20억 절감… 2015년까지 전면 실시
2013년 05월 01일(수) 00:00
단독주택, 소형음식점을 대상으로 실시해온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배출량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면서 광주시가 올해부터 공동주택까지 확대하는 계획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사진은 종량제 시행 첫 날인 지난해 12월1일 광주시 서구 관계자와 환경미화원이 스티커 미 부착 용기에 계도용 스티커를 붙이는 모습. 〈광주일보 자료사진〉
지난해 12월 1일 실시된 단독주택 20만5000세대 및 소형 음식점 2만 개소를 대상으로 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실시된 지 5개월이 지난 가운데 음식물 쓰레기가 30% 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시가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시행하겠다는 계획도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효과 ‘톡톡’=지난 30일 광주시에 따르면 올 1분기 자치단체별 단독주택·소형음식점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은 ▲동구 1495t ▲서구 2293t ▲남구 4745t ▲북구 2159t ▲광산구 1935t 등 총 1만2627t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같은 기간 배출량이 ▲동구 2183t ▲서구 3264t ▲남구 6083t ▲북구 4424t ▲광산구 2209t 등으로 총 1만8163t에 달했던 것을 감안하면 31% 줄어들었다.

서구 환경미화원 박모(45)씨는 “정액제에 비해 쓰레기 양이 줄어든 것은 확실하다”면서 “일거리가 줄었다”고 말했다.

주민 김점례(64·광주시 북구 중흥동)씨도 “음식물 쓰레기를 내놓을 때마다 스티커를 붙여야 해 쓰레기를 줄이고 한꺼번에 모아뒀다가 버리는 습관이 생겼다” 고 했다.

광주시는 쓰레기 배출량이 줄면서 올해 쓰레기 수거 및 처리비용의 경우 전년보다 20억원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주시, 아파트로 확대 방침 ‘탄력’=광주시의 지난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하루 439t, 연간 16만t에 달했다. 한 사람이 1년에 음식물 298㎏를 버리는 셈으로, 대구 237㎏, 대전 285㎏ 등 다른 광역시에 비해 높다.

광주시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실시를 추진한 이유다.

광주시는 특히 단독주택에 이어 올해 ‘공동주택 세대별 종량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하다 2015년 34만8155세대를 대상으로 전면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당장, 올 7월부터 공동주택 2만5080세대를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 진행할 계획이다.

이미 지난 2011년부터 남구 공동주택 6640세대를 대상으로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가구별로 요금이 부과되는 ‘RFID 기반 세대별 종량제 시스템’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북구 지역 546세대 아파트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RFID 기술은 교통카드,하이패스 등에 사용되는 기술로, 쓰레기통에 부착한 칩에 음식물쓰레기 카드를 대면 투입구가 열리고 버린 쓰레기양이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에 자동 입력되게 된다. 측정된 음식물 쓰레기 배출에는 ㎏당 63원의 요금이 부과된다.

광주시는 2015년까지 80억원의 예산을 투입, 공동주택 35만여 가구 전체에 RFID 시스템을 설치하는 한편, 2013년 이후 지어진 아파트에 대해서는 건설업체를 통해 세대별 종량제 시스템의 설치를 권고한다는 구상이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주민들이 쓰레기를 배출할 때 일회용 납부필증(밴드형 스티커)을 구입해 쓰레기 전용 용기에 감아 배출해야 한다. 단독주택의 경우 3ℓ와 6ℓ스티커 구입시 각각 140원과 280원, 소형 음식점은 6ℓ에 420원, 20ℓ에 1410원, 60ℓ에 4220원, 120ℓ에 8440원의 스티커 가격을 지급한다.

광주시 관계자는 “배출자 부담원칙을 정착해 생산·유통·조리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정렬기자 halo@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3673340004959031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29일 23:2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