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언론 육성책 추진
지역경제 규모와 인구 수 등에 비해 지나치게 많아 심각한 경영난과 함께 제기능을 못하고 있는 광주지역 언론을 살리기 위해서는 언론 스스로의 개혁과 공정경쟁을 위한 정부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최근 논의되고 있는 지역신문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직접지원 방안 보다는 계도지 예산 삭감 등 건전한 신문시장 토대를 마련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광주일보사와 KBC광주방송, 광주전남 비전21이 2일 오후 KBC 공개홀에서 `지역신문 살리기, 비법 없나''를 주제로 개최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위기를 맞고 있는 지역신문을 살려야 지방분권이 기틀을 마련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이같은 대안들을 제시했다.
토론회에서 김민환 고려대 교수는 “신문시장 진입장벽이 낮은 것은 언론자유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난립한 신문들이 경영난에 봉착하고 신문을 모기업 보호나 정치적 권력확보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문제”라며 “언론사 세무조사나 언론사에 대한 금융기관의 부당지원 등 법적 테두리내에서 위법한 사항에 대해 정부가 적극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덕모 호남대교수도 “광주지역신문은 적자누적과 본연기능 위축으로 심각한 위기상황이다”며 “ABC(발행부수 공사제도)가입 의무화 등 경영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도입과 편집권 독립, 자생력이 없는 지역신문의 기형적 생존 배경이 되는 계도지 예산 및 관공서 광고 폐지 등으로 건전한 언론만 살아남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박동명 광주·전남 민주언론운동협의회 의장은 “계도지 예산 폐지, 지방주재기자 제도 개선 등 기형적인 언론 성장여건을 바로잡고 지역언론 스스로는 지역밀착형 기사로 독자에게 접근하는 등 내적 개혁을 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영규 전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언론사 경영주와 기자들 스스로 변화와 개혁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기태 광주·전남 기자협회장은 “인쇄시설 소유 의무화 등 신문시장 진입을 어느 정도 제한하고 언론사의 임금체불이나 부당한 금융지원 등에 대한 일정한 제재도 지역언론을 살리는 길”이라고 말했다.
언론계 안팎에서 논의중인 정부의 지역신문 지원과 관련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지역신문을 살리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을 만들어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는 일부 토론자들의 주장에 대해 김민환 교수 등은 “정부지원은 또 다른 난립을 부추길 가능성도 있다”며 “공정경쟁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고 경쟁에 의해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