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면합의·졸속 승진·관리부재”…광주관광공사 인사 파문, 경영위기로 확산
노사 ‘공개·비공개 합의’ 이중 문서 드러나… 사장 사의와 동시 승진 강행 논란에 수익 급감·조직 공백까지 도마 위
2025년 11월 12일(수) 15:15
채은지 광주시의원.
광주관광공사의 승진 인사가 절차와 신뢰의 균형을 무너뜨렸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잇따랐다.

인사 파문은 기관장의 사의 표명과 동시에 강행된 대규모 승진, 노사 이면합의 의혹, 광주시 관리 부실 논란으로 번지며 경영 전반의 위기로 확장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채은지(비례)시의원은 공사 노사가 실제 이행용 직급 통합 합의서와 별도로 대외 공개용 이면 합의서를 작성하고, 광주시에는 공개본만 보고한 사실을 문제 삼았다.

그는 “공공기관 운영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스스로 훼손한 중대한 사안”이라고 규정하며, “기관장이 노사 3자 합의를 무시하고 특정 인사를 승진시킨 뒤 곧바로 사의를 밝힌 행태는 절차적 정당성을 상실한 무책임”이라고 비판했다.

채 의원은 현 승진의 잠정 철회와 이면합의 진상조사, 노사·광주시 공동 TF 구성을 요구하며 통합 인사제도의 재설계를 촉구했다.

채 의원은 노조 또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했다. 통합의 대의를 앞세워야 할 노조가 직급 통합 논의를 장기간 지연했고, 이면합의에 동참한 의혹이 사실이라면 공공기관 통합의 취지를 스스로 훼손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사태를 광주시 출자·출연기관 전반의 인사관리체계 취약성을 드러낸 대표 사례로 규정하고, 통합기관의 인사 투명성과 공정성을 상시 점검하는 시스템을 시가 주도해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채 의원은 “지금이라도 노사가 신뢰를 회복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통합 인사제도를 새로 세워야 한다”고 했고, 서 의원은 “수익 관리와 조직 공백이 이어진다면 시민 신뢰는 회복되기 어렵다”며 시와 공사의 조속한 수습책 마련을 촉구했다.

서임석 광주시의원.
민주당 서임석(남구 1선거구)시의원도 “이번 인사가 조직 내부 합의를 외면한 편향적 결정”이었다며, “노사 분쟁과 업무 혼란으로 기관에 손실이 발생했다면 업무상 배임까지 검토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진강 사장이 임기 종료 10개월을 남기고 사직서를 낸 당일 직원 27명을 승진시킨 점, 그중 상당수가 옛 광주관광재단 출신이었다는 내부 지적이 신뢰 붕괴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노조가 효력정지 가처분에 나선 상황에 대해 서 의원은 공사 인사·경영 관리의 최종 책임은 광주시에 있다며 감독 실패를 질타하고 시장의 사과와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두 의원은 공사가 노사 합의 이행과 인사 원칙을 공개하고, 개별 승진의 적정성과 평가 과정을 소명하는 한편,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독립 조사로 이면합의 의혹을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광주시는 산하기관 인사·경영 리스크에 대한 조기 경보체계를 가동해 통합 이후 조직 간 형평과 균형, 이해충돌 방지 장치를 정비해야 한다는 처방을 제시했다.

논란은 인사 문제를 넘어 경영 실적과 조직 관리 부실로 번지고 있다.

서 의원은 김대중컨벤션센터 부대시설 임대수익이 올해 들어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는 점을 들어, 코로나19로 전면 중단되던 시기보다 낮은 실적은 설명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2층 식당이 지난 1월 폐업한 뒤 지금까지 후속 임대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관리 부재의 상징’으로 꼽으며,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시설의 장기 공실은 행정과 경영의 이중 실패라고 비판했다.

관광기업지원센터가 약 4개월간 센터장 공석 상태였던 점도 거론하며 조직 진단, 인력 재배치, 투명한 임명 절차를 포함한 즉각적 정상화를 주문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2928100791855373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2일 18:2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