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문제, 정부가 나서 달라”
신승철 전남도의원, 어장 정화선 국비 지원 필요성 강조
전남 바다의 심각한 해양쓰레기 문제<광주일보 10월22일 6면>와 관련, 국가 지원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쓰레기 수거 업무를 지방자치단체 업무로 보고 예산 지원에 인색한 상황으로 해양쓰레기로 인한 생태계 파괴 등 부작용을 고려하면 지자체가 아닌,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12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신승철(민주·영암1) 전남도의원은 최근 해양수산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전남 해역에서 발생하는 해양 쓰레기는 연간 4만 5000여t에 달하지만 수거에 필요한 ‘어장 정화선’은 4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바다 밑에 가라앉은 해양쓰레기가 심각한 데도 전남에는 이를 건질만한 규모와 기능을 갖춘 정화선이 없다는 게 신 의원 지적이다.
전남도는 침적 쓰레기 수거가 가능한 200t급 정화선 도입에 나섰지만 기획재정부가 해양쓰레기 처리를 지자체 업무로 규정하고 국비 지원에 어려움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 의원은 전남 바다는 외국에서 유입되거나 육상에서 밀려오는 쓰레기는 물론, 해저에 침적된 쓰레기 문제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깨끗한 바다는 어민들의 생계를 넘어 도민 모두의 귀중한 자산인 만큼, 정화선 확보는 단순한 예산 사업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중요한 투자로, 앞으로도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한다”고 강조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정부는 쓰레기 수거 업무를 지방자치단체 업무로 보고 예산 지원에 인색한 상황으로 해양쓰레기로 인한 생태계 파괴 등 부작용을 고려하면 지자체가 아닌,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특히 바다 밑에 가라앉은 해양쓰레기가 심각한 데도 전남에는 이를 건질만한 규모와 기능을 갖춘 정화선이 없다는 게 신 의원 지적이다.
전남도는 침적 쓰레기 수거가 가능한 200t급 정화선 도입에 나섰지만 기획재정부가 해양쓰레기 처리를 지자체 업무로 규정하고 국비 지원에 어려움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