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된 추상으로 만나는 ‘감각적 사실’
서용인 작가 도화헌미술관서 30일까지 전시
“면밀하게 따져 구현한 ‘분석적 추상화’의 세계”
“면밀하게 따져 구현한 ‘분석적 추상화’의 세계”
![]() ‘감각적 사실’ |
도화헌미술관 박성환 관장은 그의 작품에 대해 “분석적 추상화”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보아온 추상화와는 결이 다르다”며 “면밀하게 사유하고 따져서 작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서용인 작가가 고흥 도화헌미술관에서 30일까지 전시를 연다.
박 관장에 따르면 양봉을 하는 서 작가는 캔버스를 들고 다니며 작업을 한다. 양봉을 하는 작가는 벌의 분비물을 이용해 작업을 하는데, 일반의 그림과는 다른 아우라가 느껴진다. 그의 작품이 다분히 이색적이며 추상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추상작업은 보이는 것 이면 너머의 세상을 형상화하는 데 의미가 있다. 보는 이의 시선에 따라 다른 의미와 해석을 환기하는 추상은 새로운 접근법을 요한다. 오늘 본 것이 내일과 다를 수 있고, 내일 본 그림이 미래의 어느 날 다른 의미로 확장되기도 한다.
이번 모든 작품은 ‘감각적 사실’이라는 동일한 제목을 달고 있다. 작가는 경험된 사실을 토대로 작품을 추상적으로 구현한다. 논리적이면서도 사실적이며 감각적이다. 얼핏 논리와 추상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도 없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감각적 사실’ 작품들 사이에는 나름의 친연성이 있다. 작가는 ‘회화적 사실주의’를 좋아하는데 검정 사각형은 인간의 감각의식을 드러낸다. 복잡하면서도 단순하고, 분석적이지만 비논리적인 분위기를 환기한다.
서 작가는 “입체주의나 원근법, 또는 빛을 재현하는 회화적 기법과 함께 색에 이르는 등의 감각 의식을 작동하게 한다”며 “이런 것들을 회화적 관념운동, 또는 감각 운동이라 말하고자 한다”고 의미를 밝혔다.
한편 서 작가는 중앙대 서양화과를 졸업했으며 경기도 연천에서 양봉을 하며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서용인 작가가 고흥 도화헌미술관에서 30일까지 전시를 연다.
박 관장에 따르면 양봉을 하는 서 작가는 캔버스를 들고 다니며 작업을 한다. 양봉을 하는 작가는 벌의 분비물을 이용해 작업을 하는데, 일반의 그림과는 다른 아우라가 느껴진다. 그의 작품이 다분히 이색적이며 추상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번 모든 작품은 ‘감각적 사실’이라는 동일한 제목을 달고 있다. 작가는 경험된 사실을 토대로 작품을 추상적으로 구현한다. 논리적이면서도 사실적이며 감각적이다. 얼핏 논리와 추상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도 없을 것처럼 보인다.
![]() ‘감각적 사실’ |
서 작가는 “입체주의나 원근법, 또는 빛을 재현하는 회화적 기법과 함께 색에 이르는 등의 감각 의식을 작동하게 한다”며 “이런 것들을 회화적 관념운동, 또는 감각 운동이라 말하고자 한다”고 의미를 밝혔다.
한편 서 작가는 중앙대 서양화과를 졸업했으며 경기도 연천에서 양봉을 하며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