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3분기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
  전체메뉴
전남 3분기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
전남 광공업 6분기 연속 증가세 멈추고 반락
광주·전남 소비·건설수주 모두 ‘마이너스’
“물가·금리 인상에 제조업 둔화·소비회복 지연”
2022년 10월 31일(월) 11:40
<호남지방통계청 제공>
수입 원자재 수급 불안정과 주요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부진으로 올해 3분기 전남 생산, 소비, 투자가 일제히 줄어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전남 광공업 생산액은 6분기 연속 증가세를 멈추고 이번 분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31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광공업 생산지수(2015년=100)는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광주는 8.3% 증가하고 전남은 2.5% 감소했다.

전국 광공업 생산지수는 전년보다 1.3% 증가했다.

광주 광공업 생산 증가세는 지난해 4분기(9.3%↑)부터 4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다.

전남은 지난해 1분기(2.3%)부터 6분기 연속 증가세를 멈추고 반락했다. 전남에서는 화학제품(-8.1%)과 고무·플라스틱제품(-11.7%) 생산 감소가 두드러졌다.

올해 3분기 기준 광공업 생산이 1년 전보다 줄어든 지역은 충남(-4.7%), 서울(-3.6%), 전남(-2.5%), 충북(-1.8%), 제주(-1.3%), 강원(-0.3%) 등 6개 시·도이다.

부산 증가율이 16.4%로 가장 높았고, 대구(8.6%), 광주(8.3%), 경기(7.7%), 경남(7.5%)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3분기 지역 소비는 광주·전남 모두 전국 평균 성장세를 따라가지 못했다.

3분기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2015년=100)는 1년 전보다 광주는 2.4% 증가하고 전남은 6.1% 감소했다.

전국 평균 판매액지수는 전년보다 2.7% 증가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공>
전남은 올해 들어 3분기 연속 소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번에는 2분기 감소율 4.0%보다 감소 폭을 키웠다.

3분기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 감소 폭은 대형마트 부진에서 비롯됐다. 3분기 동안 경남(5.7%↑)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시·도 판매액지수는 1년 전보다 감소했다.

전국 대형마트 판매액지수 평균 감소율은 5.0%로 나타났는데, 광주(8.4%)와 전남(7.1%) 모두 평균을 웃돌았다.

전남 대형마트 판매 감소는 지난 1분기(-5.5%), 2분기(-5.9%), 3분기(-7.1%)에 걸쳐 지속하고 있다.

시설투자 지표로 꼽히는 건설수주액도 광주·전남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3분기 건설수주액은 1년 전보다 광주 32.6%·전남 1.2% 감소했다.

광주는 2분기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으며, 전남은 전분기(6.9%↑) 성장을 뒤로하고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광주지역은 공공부문 발주가 58.9% 감소하며 민간(25.5%)보다 감소 폭이 컸다.

전남 공공건설 발주는 지난해 3분기 2838억원에서 올 3분기 4762억원으로 67.8% 증가했지만, 민간 발주가 2조3614억원에서 2조1376억원으로 9.5% 줄면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도영 호남통계청 경제조사과 주무관은 “중국 내수가 부진한 영향으로 전남의 주력 품목인 화학제품 수출이 좋지 않았다”며 “여수국가산단에서 대기업들이 지난해 7월부터 설비를 증설하며 늘어난 생산량에 미치지 못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 “9월 초 북상한 태풍 힌남노가 금속 부문 동남아시아 수출에 악영향을 끼쳤다”며 “수입 원자재 수급이 불안정하고 가격이 오른 탓에 고무와 플라스틱 제품 생산도 줄었다”고 말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내수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 내지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수출과 제조업이 둔화 흐름을 보이면서 전체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이라며 “물가와 금리 인상으로 소비 회복 흐름이 지연될 수도 있어 향후 불확실성이 크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